본문 바로가기
📖 Coding Test/Programmers LV.1

[프로그래머스 LV.1] 과일 장수

by hyebin (Helia) 2023. 3. 13.
프로그래머스 LV.1 모음

과일 장수

문제 설명

과일 장수가 사과 상자를 포장하고 있습니다. 사과는 상태에 따라 1점부터 k점까지의 점수로 분류하며, k점이 최상품의 사과이고 1점이 최하품의 사과입니다. 사과 한 상자의 가격은 다음과 같이 결정됩니다.

  • 한 상자에 사과를 m 개씩 담아 포장합니다.
  • 상자에 담긴 사과 중 가장 낮은 점수가 p (1 ≤ p ≤ k)점인 경우, 사과 한 상자의 가격은 p * m입니다.

과일 장수가 가능한 많은 사과를 팔았을 때, 얻을 수 있는 최대 이익을 계산하고자 합니다.(사과는 상자 단위로만 판매하며, 남는 사과는 버립니다)

 

예를 들어, k = 3, m = 4, 사과 7개의 점수가 [1, 2, 3, 1, 2, 3, 1]이라면, 다음과 같이 [2, 3, 2, 3]으로 구성된 사과 상자 1개를 만들어 판매하여 최대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최저 사과 점수) x (한 상자에 담긴 사과 개수) x (상자의 개수) = 2 x 4 x 1 = 8

사과의 최대 점수 k, 한 상자에 들어가는 사과의 수 m, 사과들의 점수 score가 주어졌을 때, 과일 장수가 얻을 수 있는 최대 이익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제한 사항

  • 3 ≤ k ≤ 9
  • 3 ≤ m ≤ 10
  • 7 ≤ score의 길이 ≤ 1,000,000
    • 1 ≤ score [i] ≤ k
  • 이익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0을 return 해주세요.

입출력 예

k m score result
3 4 [1, 2, 3, 1, 2, 3, 1] 8
4 3 [4, 1, 2, 2, 4, 4, 4, 4, 1, 2, 4, 2] 33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문제의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 다음과 같이 사과 상자를 포장하여 모두 팔면 최대 이익을 낼 수 있습니다.
사과 상자 가격
[1, 1, 2] 1 x 3 = 3
[2, 2, 2] 2 x 3 = 6
[4, 4, 4] 4 x 3 = 12
[4, 4, 4] 4 x 3 = 12
  • 따라서 (1 x 3 x 1) + (2 x 3 x 1) + (4 x 3 x 2) = 33을 return 합니다.

제출

import Foundation

func solution(_ k:Int, _ m:Int, _ score:[Int]) -> Int {
    var result = 0

    let mod = score.count % m
    let score = score.sorted(by: >)[0..<score.count - mod]
    
    for i in stride(from: 0, to: score.count, by: m) {
        result += Array(score[i..<i+m]).min()! * m
    }
    
    return result
}
mod 상수를 선언하여 score 변수의 크기에서 m을 나눈 나머지 값을 저장한다.
score배열을 정렬한 뒤 0부터 (score 배열의 크기 - mod)까지 score 상수에 저장한다. (score는 m의 배수의 크기를 갖는다)

i를 0부터 score의 크기까지 m 만큼씩 증가시키며 반복한다.
score 배열에서 i번째 인덱스부터 i+m까지 인덱스까지의 요소들 중에서 작은 값을 골라 m을 곱한 후 result 변수에 더한다.

다른 풀이

import Foundation

func solution(_ k:Int, _ m:Int, _ score:[Int]) -> Int {
    var answer = 0
    var score = score.sorted(by: >)
    var start = m-1
    while start < score.count {        
        answer += m*score[start]        
        start += m
    }

    return answer
}
score배열을 내림차순으로 정렬한다.
start 변수에는 m-1을 저장한다.

start가 score배열의 크기만큼 작은 경우에만 반복문이 실행된다.
answer 변수에 m*score [start] 값을 더한 후 start변수에 m을 더한다.

(ex - m이 3이고 score가 [4, 1, 2, 2, 4, 4, 4, 4, 1, 2, 4, 2] 일 때
score를 정렬하면 [4, 4, 4, 4, 4, 4, 2, 2, 2, 2, 1, 1]이고, start 변수의 값은 2이다.
answer 변수에는 3*score [2]=12, 3*score [5]=12, 3*score [8]=6, 3*score [11]=3이 더해지며, 결론적으로 33이 저장된다.)

 

반응형

댓글